 |
工事中の光化門(クァンファムン) 공사중인 광화문
地下鉄光化門駅から北へ伸びる世宗路(セジョンノ)の正面にある、景福宮の正門。 朝鮮戦争で焼失した後、1968年に鉄筋コンクリートで再建されたが、改めて木造で再建することになり、2006年に取り壊された。撮影当時は工事中で、大きな塀で覆われていたが、2010年夏に完工した。
지하철 광화문역에서 북쪽에 뻗는 세종로의 정면에 있는, 경복궁의 정문. 한국전쟁으로 소실한
후, 1968년에 철근 콘크리트로 재건되었지만, 재차 목조로 재건하게 되어, 2006년에 해체되었다. 촬영 당시는 공사중이고 큰
담으로 덮여 있었지만, 2010년 여름에 완공했다.
2009/02/03撮影 2009/02/03촬영  |
 |
興礼門(フンリェムン) 흥례문
光化門に続く第2の門。もとは弘礼門(ホンリェムン)という名前だったが、1867年の再建時に「興礼門」と改められた。現在の建物は2001年10月に復元されたもの。 ここも含め、景福宮の多くの建物の屋根の上には、西遊記の登場人物をモチーフにしたという雑像(チャプサン)が厄除けとして設けられている。
광화문에 계속 되는 제2의 문. 원래는 홍례문이라는 이름이었는데, 1867년에 재건되었을 때 '흥례문'이라고
바뀌었다. 현재 건물은 2001년 10월에 복원된 것이다. 이것도 포함하고, 경복궁의 대부분 건물의 지붕 위에는, 서유기 등장
인물을 모티프로 했다고 하는 잡상이 액막이로서 설치되고 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勤政門(クンジョンムン) 근정문
興礼門に続く第3の門。王が外へ出掛けるとき以外は中央の門は閉じられ、臣下たちは左右に設けられた日華門(イルファムン)と月華門(ウォルファムン)を通っていた。現在の建物は1867年に再建されたもの。宝物第812号。
흥례문에 계속 되는 제3의 문. 왕이 행차 할 때 이외는 중앙의 문은 닫혀져, 신하들은 좌우에 설치된
일화문과 월화문을 다니고 있었다. 현재의 건물은 1867년에 재건된 것이다. 보물 제812호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勤政殿(クンジョンジョン) 근정전
景福宮の正殿にあたり、韓国最大の木造建築。国家の主要な儀式がここで行われていた。現在の建物は1867年に再建されたもの。国宝第223号。 儀式などで臣下が整列する際、官位ごとに立つ位置が決まっていて、それを表す品階石(プムギェソク)が並んでいる。
경복궁의 정전에 해당해, 한국 최대인 목조 건축이다. 국가의 주요한 의식이 이 곳에서 행해지고 있었다.
현재의 건물은 1867년에 재건된 것이다. 국보 제223호. 의식등으로 신하가 정렬할 때, 품계에 의해 서는 위치가 정해져
있었고, 그것을 나타내는 품계석이 줄지어 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勤政殿の内部 근정전의 내부
中央に見えるのが玉座で、その後方には「日月五峯図(イルォルオボンド)」の屏風が見える。太陽(赤い丸)と月(白い丸)はそれぞれ王と王妃を表しており、さらに陰と陽の調和も象徴している。朝鮮時代の王の背後には常にこの図が置かれていたといわれ、王が出掛けるときは必ずこの図を持って行ったそうだ。現在の1万ウォン紙幤も、世宗大王の背後にこの図が描かれている。
중앙으로 보이는 것이 옥좌이고, 그 후방에는 '일월 오봉도'의 병풍이 보이다. 태양(붉은 환)과 달(흰
환)은 각각 왕과 왕비를 표현하고 있고, 또 음과 양의 조화도 상징하고 있다. 조선시대의 왕 배후에는 항상 이 그림이 놓여져 있었다고
해, 왕이 행차 할 때는 반드시 이 그림을 가져 갔다고 하다. 현재의 1만원 지폐도, 세종대왕 배후에 이 그림이 그려져 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思政殿(サジョンジョン) 사정전
王が日常的に国政を執り行っていた建物。右隣の万春殿(マンチュンジョン)、左隣の千秋殿(チョンチュジョン)とともに便殿を形成しており、王と臣下たちが議論を交わしていた。
왕이 일상적으로 국정을 거행하고 있던 건물이다. 오른쪽옆의 만춘전, 왼쪽옆의 천추전과 함께 편전을 형성하고
있고, 왕과 신하들이 논의를 주고 받고 있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修政殿(スジョンジョン) 수정전
もとは集賢殿(チプヒョンジョン)という建物で、王室の学問研究機関だった。訓民正音(ハングル)もここで考案されたといわれる。1867年に再建されたとき、名前が「修政殿」と改められた。
원래는 집현전이라는 건물이며, 왕실의 학문연구기관이었다. 훈민정음(한글)도 이 곳에서 고안 되었다고 하다.
1867년에 재건되었을 때, 이름이 '수정전'이라고 바뀌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慶会楼(キョンフェル) 경회루
国で慶事があったときに祝宴が行われた建物。池の中に建っており、景福宮の中でも特に美しい景観を誇る。現在の建物は1867年に再建されたもの。国宝第224号。
나라에서 경사가 있었을 때에 축연을 한 건물이다. 연못안에 세우고 있어, 경복궁 중에서도 특히 아름다운
경관을 자랑하다. 현재의 건물은 1867년에 재건된 것이다. 국보 제224호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康寧殿(カンニョンジョン) 강녕전
王の寝殿だった建物。「井」字型に9つの部屋に分かれていて、王の寝室はその中心にあった。現在の建物は1995年に復元されたもの。 他の建物と違い、屋根にヨンマル(龍棟、つまり棟瓦のこと)がないのが特徴。龍は王の象徴なので、王の上に龍があってはいけないということから、ヨンマルが作られなかったそうだ。
왕의 침전이었던 건물이다. '井'자 모양으로 9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고, 왕의 침실은 그 중심에 있었다.
현재의 건물은 1995년에 복원된 것이다. 다른 건물과 달리, 지붕에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. 용은 왕의 상징이니까, 왕
위에 용이 있어선 안 된다고 하는 것으로, 용마루가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하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交泰殿(キョテジョン) 교태전
王妃の寝殿で、康寧殿の後方に位置する。康寧殿と同様にヨンマルがない。現在の建物は1995年に復元されたもの。
왕비의 침전이고, 강녕전의 후방에 위치하다. 강녕전과 같게 용마루가 없다. 현재의 건물은 1995년에 복원된
것이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峨嵋山(アミサン) 아미산
交泰殿の裏側にある庭園。六角形のレンガの建物はオンドル(朝鮮式の床暖房)の煙突で、交泰殿のオンドル部屋と繋がっている。宝物第811号。
교태전의 뒤편에 있는 정원. 육각형의 벽돌 건물은 온돌의 굴뚝이고, 교태전의 온돌방과 연결되고 있다. 보물
제811호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慈慶殿(チャギョンジョン) 자경전
王の母親の寝殿。1867年に建てられたが、二度にわたる火事で焼失し、現在の建物は1888年に再建されたもの。宝物第809号。
왕의 어머니의 침전. 1867년에 지어졌지만, 두 번에 걸치는 화재로 소실해, 현재의 건물은 1888년에
재건된 것이다. 보물 제809호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風旗台(プンギデ) 풍기대
風の強さと方向を測る風旗(プンギ)を支えてていた台。18世紀のものといわれる。宝物第847号。
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재는 장치로 풍기를 꽂았던 기둥대다. 18세기 것이라고 하다. 보물
제847호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香遠亭(ヒャンウォンジョン) 향원정
王と臣下たちの交流の場所だったところで、非常に美しい景観となっている。奥には北岳山(プガクサン)がそびえている。
왕과 신하들의 교류 장소였던 곳이고, 아주 아름다운 경관이 되고 있다. 후방에는 북악산이 우뚝 솟아
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
 |
八隅亭(パルジョン)・集玉斎(チボクチェ)・協吉堂(ヒョプキルダン) 팔우정·집옥재·협길당
景福宮の最も奥に位置する。王が書斎として使っていたところで、三つの建物は渡り廊下で繋がっている。
경복궁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다. 왕이 서재로서 사용하고 있던 곳이고, 3개 건물은 복도로 연결되어
있다.
2009/02/07撮影 2009/02/07촬영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