大韓民国 대한민국
このページでは、私「まっち」が韓国を訪れた際の旅行記・写真集を紹介しています。韓国人の方々もご覧になれるよう、拙い韓国語を併記して紹介しています。文化、風習の違いのため、あるいは私の無知のために、韓国人の方々にとって不快に思われる表現があるかもしれません。もしありましたらどうぞご容赦ください。 이 페이지는 일본인 '맛치(まっち)'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의 여행기나 사진집입니다. 한국 분들도 보실 수
있도록 서투른 한국어로 소개하고 있습니다. 문화, 풍습 차이 때문에 혹은 제 무지 탓으로, 한국 분들이 보시면 불쾌하게 느끼시는
표현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. 만약 있다면 부디 용서해 주십시오. |
※画像または都市名をクリックすると、各ページへジャンプします。
* 사진 혹은 도시 이름을 클릭하면, 각 페이지가
나옵니다.
市街地散策 시가지 산책
![]() |
明洞(ソウル特別市中区) 명동(서울특별시 중구)
デパートやブランドショップが建ち並ぶ、ソウル一の繁華街。 백화점이나 브랜드 숍이 늘어서는, 서울 제일의 번화가. 2009年2月3日・12月26日撮影 2009년 2월 3일・12월 26일 촬영 |
![]() |
南大門市場(ソウル特別市中区) 남대문시장(서울특별시 중구)
600年もの歴史を誇る、韓国最大規模の市場。 6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, 한국 최대 규모의 시장. 2009年2月3日・2013年7月25日撮影 2009년 2월 3일・2013년 7월 25일 촬영 |
![]() |
梨泰院(ソウル特別市龍山区) 이태원(서울특별시 용산구)
外国人が集まり、英語の看板が並ぶ国際色豊かな街。 외국인이 모여 영어 간판이 줄선 국제색 풍부한 거리. 2009年2月3日撮影 2009년 2월 3일 촬영 |
![]() |
仁寺洞(ソウル特別市鍾路区) 인사동(서울특별시 종로구)
伝統工芸品店やギャラリーなどが集まる文化の街。 전통공예품점이나 갤러리등이 모이는 문화의 거리. 2009年2月3日撮影 2009년 2월 3일 촬영 |
![]() |
三清洞・北村(ソウル特別市鍾路区) 삼청동·북촌(서울특별시
종로구)
昔ながらの韓屋(韓国の伝統家屋)がたくさん残る街。 옛날부터의 한옥이 많이 남는 거리. 2009年2月7日撮影 2009년 2월 7일 촬영 |
![]() |
大邱(大邱広域市中区・西区) 대구(대구광역시 중구·서구)
ソウル、釜山に次ぐ韓国第三の都市。 서울, 부산에 뒤잇는 한국 제삼의 도시. 2009年12月20日・21日・2013年7月27日撮影 2009년 12월 20일・21일・2013년 7월 25일 촬영 |
![]() |
安養(京畿道安養市万安区) 안양(경기도 안양시 만안구)
ソウル近郊の典型的なベッドタウン。 서울 근교의 전형적인 주택 지역. 2009年2月4日・12月24日・2011年8月27日撮影 2009년 2월 4일・12월 24일・2011년 8월 27일 촬영 |
![]() |
坪村新都市(京畿道安養市東安区) 평촌신도시(경기도 안양시
동안구)
1980年代末に開発された新都市。 1980년대말에 개발된 신도시. 2009年2月4日・12月24日撮影 2009년 2월 4일・12월 24일 촬영 |
![]() |
仁徳院(京畿道安養市東安区) 인덕원(경기도 안양시 동안구)
安養市の東のはずれ、昔からの交通の要衝で、居酒屋の多い歓楽街。 안양시 동쪽의 끝자락, 옛부터 교통의 요충이고, 주막이 많은 환락가. 2009年2月4日撮影 2009년 2월 4일 촬영 |
![]() |
松炭(京畿道平沢市) 송탄(경기도 평택시)
米軍基地の前に発展した外国人の多い街、「ミニ梨泰院」。 미군 부대 앞에서 발전한 외국인이 많은 거리, '작은 이태원'. 2009年2月5日撮影 2009년 2월 5일 촬영 |
![]() |
温陽温泉(忠清南道牙山市) 온양온천(충청남도 아산시)
韓国で最も長い歴史を持つ温泉街。 한국에서 가장 긴 역사를 가지는 온천 마을. 2009年2月5日・6日撮影 2009년 2월 5일·6일 촬영 |
![]() |
倭館(慶尚北道漆谷郡倭館邑) 왜관(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)
大邱郊外、洛東江のほとりに位置するベッドタウン。 대구 교외, 낙동강 강변에 위치하는 주택도시. 2013年7月27日撮影 2013년 7월 27일 촬영 |
ミニ・トリップ 미니 여행
![]() |
清渓川(ソウル特別市鍾路区・中区) 청계천(서울특별시
종로구·중구)
近年復元・整備された、ソウルの中心部を流れる川。 근년 복원·정비된, 서울 중심부를 흐르는 강. 2009年2月3日・12月26日撮影 2009년 2월 3일・12월 26일 촬영 |
![]() |
景福宮(ソウル特別市鍾路区) 경복궁(서울특별시 종로구)
ソウル最大の規模を誇る、李氏朝鮮王朝の正宮。 서울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, 이씨 조선 왕조의 정궁. 2009年2月3日・7日撮影 2009년 2월 3일·7일 촬영 |
![]() |
昌徳宮(ソウル特別市鍾路区) 창덕궁(서울특별시 종로구)
世界遺産に指定された、李氏朝鮮王朝の離宮。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, 이씨 조선 왕조의 별궁. 2009年2月7日・2013年7月25日撮影 2009년 2월 7일・2013년 7월 25일 촬영 |
旅行記 여행기
道路名の表記について 도로명의 표기에 대해
韓国では、2007年4月5日から新しい住所表記制度が始まり、国内全ての道路に「○○로(路)」や「○○길(ギル:韓国語で道路という意味)」などといった名前が付けられました。これに伴い、道路名を示す表示板があちこちに設置されています。右の写真は新住所制度を紹介するポスターです(地下鉄4号線仁徳院駅で撮影)。一番上には「誰でも簡単に探すことができる新住所に変わります」と書いてあり、例として「중앙로(チュンアンノ/中央路)」という表示板が紹介されています。 한국에서는, 2007년 4월 5일부터 새로운 주소 표기 제도가 시작되어, 국내 모든 도로에 '○○로'나
'○○길' 등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. 이것에 수반해, 도로명을 나타내는 표시판이 여기저기에 설치되어 있습니다. 오른쪽의 사진은
새주소 제도를 소개하는 포스터입니다(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에서 촬영). 가장 위에는 '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는 새주소로
바뀝니다'라고 써 있어, 예로서 '중앙로'라는 표시판이 소개되고 있습니다. |
![]() |